치킨 프랜차이즈가 난립한 시대에도 여전히 전통시장의 닭집은 살아남고 있습니다. 특히 연말은 고객 수요가 몰리는 시즌이자, 한 해 장사의 성패를 좌우하는 시기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닭을 튀기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전통시장에서 닭집을 운영 중인 자영업자의 경험을 토대로, 연말 특수기를 대비한 실전 전략과 비하인드를 소개합니다.

전통시장 닭집

전통시장 닭집의 연말 매출 구조

전통시장의 닭집은 연말 시즌에 매출이 급증하는 특성을 보입니다. 크리스마스, 연말모임, 송년회 시즌이 겹치면서 닭 소비량이 2~3배 이상 증가합니다. 특히 전기구이 닭, 간장찜닭, 삼계탕 재료용 생닭 수요가 높습니다.

이 시기 매출은 평월의 1.5~2배까지도 증가하며, 일부 점포는 연말 일매출이 100만 원을 넘기기도 합니다. 하지만 원재료 수급, 인력 관리, 주방 동선, 재고 회전율 등 다양한 요소가 동시에 맞물려야만 이익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연말 시즌 닭 수급 전략

닭은 신선도가 생명입니다. 연말 특수기를 대비해 닭집 사장들은 사전에 도계장과 물류 업체와 계약을 조율하며, 수요 예측을 기반으로 물량을 확보합니다. 일반적으로 2~3주 전부터 평소보다 1.5배 이상 재고를 확보하고 냉장·냉동 공간도 확장 준비를 합니다.

수급 포인트

  • 중량별 수요 파악(900g~1.3kg 기준)
  • 도계일자별 순환 출고표 작성
  • 가격 등락 예측 및 선계약 체결

2024년 기준 생닭 도매가는 연말 수요 증가로 평균 kg당 4,300원~4,800원까지 상승했으며, 유통거래처 확보 여부가 마진율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이 됩니다.

상품 구성과 차별화 전략

최근 고객들은 단순한 '닭 한 마리'보다 다양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요구합니다. 이에 따라 닭집 사장들은 연말에 맞춘 상품 구성 전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실제 운영 사례

  • 전기구이 닭 + 감자 세트: 테이크아웃 인기 상품
  • 삼계탕용 반조리 세트: 중장년층 타깃
  • 가정간편식(HMR) 찜닭: 1인 가구 및 택배 주문 대응

이러한 차별화 전략은 단골 유지와 신규 고객 확보에 큰 역할을 하며, 지역 전통시장에 방문 이유를 만들어주는 요소가 됩니다.

연말 마케팅과 고객 유치 방법

전통시장이라는 특성상 온라인 광고보다는 오프라인 중심의 마케팅이 주를 이룹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SNS, 지역 커뮤니티, 배달앱 리뷰 등을 활용해 디지털 기반 홍보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주요 마케팅 전략

  • 스티커 쿠폰제 도입 (10마리 구매 시 1마리 무료)
  • 시장 내 이벤트 연계 (연말 경품 행사, 쿠폰 뽑기 등)
  • 카카오채널 개설 후 예약주문 접수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 연말에는 '감사 메시지', '미리 예약시 할인' 등 단골 유치를 위한 장치도 마련합니다. 입소문과 단골의 재구매율이 가장 중요한 시장 환경에서 이 같은 전략은 효과가 매우 큽니다.

인력과 주방 동선의 효율성 확보

연말에는 평소보다 2~3배 이상 많은 주문이 들어오기 때문에, 인력 배치와 주방 운영 효율이 중요합니다. 특히 작은 점포일수록 주방 동선과 인력 배분이 매출과 직결됩니다.

일부 점포는 연말 단기 아르바이트를 미리 채용하고, 조리-포장-서빙 동선을 구획별로 정해놓습니다. 메뉴 단순화와 포장재 사전 확보도 중요하며, 가급적 현금결제보다는 간편결제(QR, 계좌이체 등) 유도를 통해 결제 대기시간도 줄이고 있습니다.

결론: 전통시장에서도 전략이 승부를 가른다

‘팔리면 장사 된다’는 말은 옛말입니다. 연말이라는 특수 시즌 속에서도, 전략 없이 임하면 이익은커녕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전통시장의 닭집도 마찬가지입니다. 수급, 구성, 인력, 마케팅까지 복합적인 전략이 이뤄질 때 비로소 매출로 이어집니다.

고객의 입맛뿐만 아니라, 발길을 끌고, 단골로 전환시키는 이 모든 과정은 사장의 안목과 준비에서 시작됩니다. 전통시장도 이제는 전략의 시대입니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공식사이트

농림축산식품부 닭고기 유통자료

전통시장 육성정책 확인하기